티스토리 뷰

주변에 보면 "CFA가 되어서 더 투자를 잘하고 높은 수익률을 올릴 거야!"라는 동기로 공부를 하시는 분들이 가끔 있습니다. 

"더 많이 배운 사람들이 더 투자를 잘 할 거야!"라는 믿음은 금융시장에 많이 퍼져있습니다. 실제로 펀드 매니저들의 학력과 학벌을 많이 따지기도 하고 중요한 광고 요소가 되기도 합니

다. 이왕이면 펀드매니저가 학부 졸업생인 것보다는 석사 졸업생이었으면 좋겠고, 박사면 더 좋고, 유명 교수가 직접 운영하면 더더욱 좋겠죠.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들이 참여하는 펀드는 어떠신가요?


Source: Futurama / Attack of the Killer App / 2010.07.01



LTCM (롱텀 캐티털 매니지먼트)는 1997년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마이린 숄즈 교수와 로버트 머튼 교수(블랙-숄즈 모델 창안자)가 LTCM의 공동 주주이자 파트너 학자로 참여한 펀드입니다. LTCM은 최소 투자금 1,000만 달러, 수수료 총자산의 2%, 이익 분배금 25%를 요구하였습니다. 일반적인 다른 햇지 펀드들은 최소 투자금 100만 달러, 수수료 1%, 이익 분배금 20% 가 시장 평균일 때 말이죠.

이런 천재적인 두뇌의 펀드는 어마어마한 규모의 파생상품을 거래(채권차익거래 26배 레버리지)하면서현금은 거의 가지고 있지 않았습니다. 이들은 슈퍼컴퓨터와 정교한 모델을 자랑하면서도 막상 컴퓨터에는 1990년대 이후 기초 자료만 겨우 입력되어 있었고, 정교한 모델은 연쇄적인 외부 충격을 가정하지 않았습니다. 이들은 결국 1998년 러시아 모라토리엄(국채의 지급 연기, 일종의 채무불이행) 선언으로 붕괴됩니다.





그러면 저 LTCM에 관련된 경제학자들은 망했냐고요? 천만에요. 강연 잘 하고 다니시면서 존경받으면서 잘 지내십니다. 노벨경제학상에 저런 에피소드까지 곁들여지면 몸값은 오르기 마련이죠. 200년이 넘고 한때 “여왕 폐하의 은행”(the "Queen's Bank")으로 불리던 베어링스 은행 (1762년!!! - 1995년)을 무너뜨린 닉 리슨도 1회 강연료 9800달러에 이를 정도이니까요. 



그럼 다시 질문을 해봐야겠지요. CFA를 통과하면 투자를 더 잘 할 수 있고, 더 높은 수익률을 낼 수 있을까요? 

1994년에 Ravi Shukla와 Sandeep Singh의 "Are CFA Charterholders Better Equity Fund Managers?"라는 비교 연구가 있습니다. 이들은 1988년 7월부터 1992년 12월까지의 CFA 보유자가 펀드 매니저로 참석한 펀드와 아닌 펀드를 구분하여 조사해 보았습니다. 

연구 결과... 

1. CFA 보유자가 비보유자에 비해서 평균 수익률이 높더라!

2, 근데 통계적으로 볼 때는 그 차이가 유의미하지는 않더라 (... 결국 별 차이가 없다는 이야기겠죠)

3. 좀 더 공격적인 투자성향이 있는데 분산투자는 더 많이 했더라

였습니다. 

CFA 그룹의 펀드매니저의 평균 운영 경험은 8.52년, Non-CFA 그룹의 펀드매니저의 평균 운영 경험은 10.39년이었습니다. 비록 CFA가 없더라도 10년 이상 운영해온 펀드매니저의 경험치는 대단한 것이겠죠. 

아무튼 혹시라도 CFA 윤리 과목에서 "저는 CFA가 있으니 더 우월한 수익률을 낼 수 있습니다!"라는 지문이 나온다면 100% 틀린 지문입니다. 그냥 주는 문제죠. 이런 거 틀리시면 안 됩니다. 



CFA가 되면 더 투자를 잘 할 수 있을까?의 3줄 요약
1. 그런 거 없다.
2. 그런 게 있어도 CFA 때문은 아닐 것이다. 그 사람이 잘난 거다.
3. 잘난 사람은 망해도 잘 나가더라.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